-
음향학 이야기: A-가중 음향 레벨(A-weighted sound level), dB와 dBA 차이점오피쓴의 음향학라이프/음향학 이야기 2021. 2. 11. 01:12
여러분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의 단위, dB와 dBA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음향학을 잘 모르는 연구실 혹은 기업과 함께 연구를 진행해보면, dB와 dBA를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됩니다.
dB와 dBA가 비슷하게 생겨,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둘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 dBA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릴테니, 꼭 구분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A-가중 음향 레벨(A-weighted sound level) (dBA)
음압 레벨(SPL)과 그 단위인 dB에 대해서는 물리 음향학 글에서 다룬 바가 있습니다.
아래 글을 통해, 소음을 측정한다는 것의 의미와 그 단위인 dB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물리 음향학: Sound Pressure Level (SPL) (음압 레벨) (dB)
"소음 측정 결과 90 dB(데시벨)이 나와, 기준치를 초과하였습니다" 뉴스에서 소음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면, 꼭 나오는 문장입니다. 데시벨(decibels)은 대표적인 소음 단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
opee.tistory.com
dB는 알았으니, dBA만 알면 이 둘의 차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
dBA는 측정값의 각 주파수 성분에 A-가중치를 부여한 것입니다.
A-가중치를 부여한 음압 레벨을 A-가중 음향 레벨(A-weighted sound level)이라고 부르며, 그 단위가 dBA입니다.
오, 그렇다면 A-가중치는 무엇일까요? 왜 A-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일까요?
A-가중치를 부여하는 이유는 측정값에 인간의 귀를 반영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인간의 귀는 주파수별로 민감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귀는 같은 크기임에도 1000 Hz의 소리를 100 Hz보다 훨씬 더 잘 들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주파수에 따른 귀의 민감도를 정리한 것이 등청감곡선(equal loudness contours)라고 합니다.
등청감곡선 대한 것은 주제를 벗어나니 살짝쿵 넘어가겠습니다.
일단은 우리의 귀는 주파수에 따라 민감도가 다르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그리고 "A-가중치는 귀의 민감도를 반영한 것이다." 이것만 아시면 됩니다.
(엄밀하게 A-가중치는 40 phon 등청감곡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등청감곡선을 뒤집으면 A-가중치가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잊어주세요)
주파수 (frequency) (Hz) 보정값 (correction) (dB) 31.5 -39.4 63 -26.2 125 -16.1 250 -8.6 500 -3.2 1000 0 2000 +1.2 4000 +1.0 8000 -1.1 A-가중치에 대해 알게 되었으니, 음압 레벨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단순합니다.
측정값에 주파수별로 더하기(+) 혹은 빼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위에 표는 A-가중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보정값입니다.
귀의 민감도가 높은 1000, 2000, 4000 Hz는 측정값에서 더해주어야 합니다.
귀의 민감도가 낮은 500 Hz 이하는 측정값에서 빼주어야 합니다.
참 쉽죠?
A-가중 음향 레벨(A-weighted sound level) (dBA) 모든 주파수에 대해 나타내면, 위와 같은 그래프가 그려집니다.
위 글을 읽고 그래프를 보시면, 느낌이 조금 오실겁니다.
그리고 dB와 dBA를 구분 없이 사용했을 때, 어떤 사고가 발생할지도 알게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A-가중치가 자동으로 적용되는 측정기로 200 Hz의 소음을 측정했다고 해봅시다.
이때, 측정기에서 표기되는 단위는 무엇인가요? dBA입니다.
그럼에도 측정자가 구분 없이 100 dBA로 나온 결과를 100 dB로 적으면 어떻게 되나요?
200 Hz의 A-가중치 보정값은 약 -10 dB이므로, 10 dB만큼의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10 dB는 약 3배 차이입니다. 3배만큼의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엄청나죠?
A-가중 음향 레벨(A-weighted sound level) 보정값 식 위 식은 A-가중치 식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위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혹여, A-가중치를 사용하실 일이 있으실까 드립니다. 구글에 치면 다 나오긴 합니다.
가중 음향 레벨은 A뿐 아니라 C-가중치도 많이 사용됩니다.
그럼에도 측정비용이 낮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활용하기 쉬워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확도도 높아 대부분의 환경 소음 평가방법가 상당히 일치한다고 합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서두에도 말씀드렸지만, dB와 dBA를 구분 없이 사용하는 분이 많습니다.
안됩니다.
정말루요.
[참고 문헌]
1. 김진연, 권휴상, 김봉기, 이준신, "음향학의 기초" 홍릉과학출판사 (2013)
2. en.wikipedia.org/wiki/A-weighting
A-weighting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Curves used to weigh sound pressure level A graph of the A-, B-, C- and D-weightings across the frequency range 10 Hz – 20 kHz Video illustrating A-weighting by analyzing a sine
en.wikipedia.org
3, en.wikipedia.org/wiki/Equal-loudness_contour
Equal-loudness contou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Frequency charachteristics of hearing ISO equal-loudness contours with frequency in Hz. An equal-loudness contour is a measure of sound pressure level, over the frequency spectrum, for
en.wikipedia.org
'오피쓴의 음향학라이프 > 음향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향학 이야기: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ANC) 개요 (1) 2021.04.07 음향학 이야기: A-가중 음향 레벨 표(소음 표)(dBA 표) (0) 2021.03.07 음향학 이야기: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인한 도시 소음 변화 (0) 2020.11.25 음향학 이야기: 끔찍한 식당 소음을 줄이는 법(흡음률) (6) 2020.06.25 음향학 이야기: 식당에서의 끔찍한 소음 (0) 2020.03.30